top of page

Hello

안녕! 저는 대한민국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있는 이창호라고 합니다. 그 동안 생물학의 새로운 발견과 아이디어에는 일반인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잘 소개되지 못하는 점을 안타깝게 생각해왔던 사람입니다. 항상 누군가 논문도 읽고 평가할 수 있고 일반인들에게도 잘 소개해주는 웹사이트를 만들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죠. 그런데 어느새 "내가 만들어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고 이렇게 부족하지만 시작해볼까 합니다.   

Hello! My name is Lee Chang-ho and I am majoring in biology in South Korea. I have always felt sorry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new findings and ideas in biology provide a lot of useful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it has not been well introduced. I have always thought that it would be great if someone could make a website that could digest and evaluate the recent research papers and introduce them well to the public. However, I have recently started thinking, "Maybe I should be the one to create it?" So, although I may not be the best person, I am starting to create this website.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 Instagram

​ 왜 이 사이트를 만들게 되었나.
Why did I make this Site.

생물학, 의학의 발달로 인간에게 주어진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즉, 20세기 초반에는 선진국에서 조차 인간의 평균기대수명이 40세 초반이었는데 오늘날에는 80세 가까이 늘어났다.  이런 수명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는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발견과 그 미생물을 퇴치하는 치료법과 예방법의 발전에 힘입은바 크다. 좀더 현대에 이르러서는 우리 몸의 생리현상들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여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고 즐겁게 오래사는 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런 발전은 사실 생물학 전분야에서 연구된 결과들을 우리 생활에 응용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다. 

생물학의 발전과 응용은 물리화학과는 달리 각자 우리 일상에서 바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최신 생물학의 정보는 우리 건강은 물론 의학, 식품, 심리학, 스포츠, 철학에 이르기 까지 중요한 정보들을 전해준다. 예컨데 특정 암세포에 특효제가 개발되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고 결국 치료제가 있음에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감염질환에 대한 정보는 어떻게 개인방역을 해야할지 또는 백신을 맞아야 할지 등 정부 뿐 아니라 각 개인에게도 판단할 자료를 제공한다. 전세계적으로 건강, 식단, 생활운동, 환경오염, 신약개발 등에 대해 유용한 정보가 매일 과학잡지 등을 통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되고 있다고 보면된다.

사실 생물학에서 나오는 그 수 많은 정보를 모두 알기도 어렵고 무엇이 중요한지는 더더욱 알 수 없다. 따라서 이런 생물학정보를 해석해주고 설명해주는 작업이 잘 이루어져야 생물학적 지식들을 우리 생활에 응용하고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 사이트의 "Biology, Cell Biology, Physiology" 등 교과목 부분에서는 생물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내용들을 "Current Topics"에서는 최신 정보를 잘 풀어서 제공하고자 만든 것이다. 또한 생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나 생물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생각을 갖는 사람이라면 "학생들에게-->" 버튼을 눌러 보다 나은 삶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190128_121748_(1).jpg

My Story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를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물학과(현 생명과학부)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San Antonio에서 Post-Doct을 거쳐 현재는 강릉원주대학교 자연대 생물학과에 재직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NIEHS/NIH)에서 10년 가까이 교환교수 등으로 연구활동을 했지요. 연구분야는 세포분화, 면역, 암에 관련된 분자들과 이를 제어하는 천연물 소재에 관심이 있습니다. 지난 연구생활 동안 30여편의 SCI학술논문과 약 20권의 관련 분야 번역서와 저술서 출판에 참여했습니다.  세포학, 동물생리학, 동물발생학 과목을 가르치고 있고  전국단위 시험출제에도 다수 참여한 바가 있습니다.

Contact

여기 소개한 글을 인용할 때는 본 웹사이트를 인용하였음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코멘트나 질문은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033-640-2317 

bottom of page